.
전문클리닉
Home   >   전문클리닉   >   신장·비뇨기계질환
심혈관계질환 내분비질환 소화기질환 호흡기질환 갑상선질환 신장·비뇨기계질환 피부 알레르기질환

수원한국내과의원

신장·비뇨기계질환

우리동네 평생 주치의, 가족의 주치의가 되겠습니다.

신장·비뇨기계질환이란?

신장은 우리 몸에 흐르는 혈액을 여과해주고 노폐물을 배출시켜주는 필터의 역할을 합니다.
신장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은 여과를 제대로 못해준다는 것으로 몸이 부어오르는 부종이 발생하고 황달이 보일 수 있으며 피로감이 쉽게 찾아옵니다.

신장·비뇨기계 질환은 초기에는 아무 증상이 없다가 서서히 다리 부종, 피로감, 구토, 식욕부진, 야간 빈뇨, 가려움증, 정신력 감소, 근육경련 및 신경 병증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질환

/_files/68AJLIZOI.jpg
  • 01
    신부전증
    신장의 기능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장애가 생길 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단백뇨, 부종, 고혈압을 동반하며 손과 얼굴, 발 등이 붓거나 배뇨 횟수가 잦거나 극심한 피로감, 두통, 멀미, 식욕감소, 피부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02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매우 흔한 신장 질환의 하나로서, 특히 젊은이나 중년의 성인에게 흔하며 대체로 세균 감염에 기인합니다. 일반적으로 즉시 진단되고 치료되기 때문에, 신장에 장기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어린이의 경우는 신우신염의 증상이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어 심각한 신장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결국에 신부전증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03
    급성사구체신염
    신장에서 노폐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사구체에 면역 매개성 염증이 생기는 경우 혈뇨가 나오게 됩니다.
  • 04
    신장결석
    신장 결석은 돌과 같은 모양의 노폐물의 결정으로, 소변이 포화되거나 이러한 결정화 과정을 방지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이 없을 때 발생합니다. 작은 결석은 신장에서 제거되어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일반적으로 신장에 있는 결석은 대개 통증이 없으나 요로계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05
    요로결석
    요로에 결석이 생긴 것으로 혈뇨와 함께 심한 옆구리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신장결석이나 방광결석과 같은 경우는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석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는 증상으로 고통스러움을 느끼며 신장 기능이 저하되기도 합니다.
  • 06
    급성 방광염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보관되는 장기인 방광에 감염이 발생하여 걸리는 병으로 방광 내 세균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 07
    전립선염
    전립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요로계 감염시 세균이 요도를 통하여 직접 감염이 되는 경우이며 전립선액의 배설장애, 전립선 내로의 요 역류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예방법

  • 1
    저염식 식사를 하도록 합니다.(단백질 섭취는 줄입니다.)
  • 2
    이유없이 피곤하거나 이상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내과진료를 받습니다.
  • 3
    습관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습니다.
  • 4
    주 3일 이상 꾸준한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 5
    과일이나 채소의 지나친 섭취를 피하도록 합니다.